1. 사회적 변화
    1. 앨빈 토플러는
      1. 제1의 물결
        1. 농업혁명
          1. 수렵 채집사회에서 농경사회로 변화되면서 본격적인 문명의 시대가 도래
      2. 제2의 물결
        1. 산업혁명
          1. 산업화로 인해 사회가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중문화 등에 기반하여 표준화, 중앙화, 집중화가 진행되는 시대
      3. 제3의 물결
        1. 정보혁명
          1. 후기 산업화로, 탈대량화, 다양화, 지식기반 생산과 변화의 가속으로, 탈선형으로 자유롭게 발전이 가능한 시대
    2. 정보 사회는
      1. 데이터를 의미있는 정보로 가공하여 유통하고 소비하고 확장하는 사회
      2.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접근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고 있다.
    3. 정보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1. 데이터를 의미있는 정보로 창출하는 능력
      2.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할 수 있는 능력
      3. 자신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정보를 가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4. 정보를 다룰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4. 앞으로는
      1. 모든 지식 분야에 정보를 다루는 능력이 요구되며, 이런 사고 능력을 computational thinking 이라고 정의한다.
  2. 공교육(초중등)의 목적
    1. 등장배경
      1. 1789년 프랑스 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된 공교육 제도는 국민 전체의 공익을 위해 보편적으로 실시되는 평등교육의 원리를 지니고 있음
      2. 그 이전에는 지배 계층의 엘리트 교육이나 각 가정에서 진행된 교육, 전문가를 위한 도제 교육 형태로 진행되었음
    2. 목적
      1. 초등학교는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교육을 하는 것이 목적이며 중학교는 초등교육위의 중등교육을 하며, 고등학교는 중등교육 및 기초적인 전문교육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2. 즉, 국가의 국민들로 부터 교육의 권한을 이양받은 국가의 공교육은 국민들이 그 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능력을 익히는 곳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3. 이를 위해, 무상 의무교육을 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학교를 운영하여 그 목적에 부합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3. 정보교육의 필요성
    1. 현재의 사회적 변화에서 국민 전체의 공익을 위한 보편적이며 평등교육을 위해 공교육(초중등)에서 정보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2. 평등교육 원리에 입각하여, 정보 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는 국민을 키우기 위해서는 정보교육이 필요하다.
    3. 특히, 앞으로는 재화의 정도뿐만 아니라 정보의 접근성과 활용 능력에 따라 사회적 계급이 정해질 수 있으므로 공교육(초중등)에서는 반드시 정보교육이 필요하다.
    4. 정보 교육은 단순히 정보 기기를 사용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정보를 접근하고 쉽게 다루며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5. 정보 사회에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정보 기기와 Computational Thinking 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어야 하며, 공교육에서는 이런 국민을 양성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