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색인의 구분
    1. 색인어의 유형에 따라
      1. 주제색인
        1. 정보주제의 주제를 나타내는 요소를 색인어로 선택한 색인
      2. 비주제색인
        1. 저자명,표제,기관명, 등 주제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요소를 색인어로 선택한 색인
    2. 용어 통제 여부에 따라
      1. 자연어색인
        1. 주제분야가 한정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최종이용자가 전문용어에 익숙한 경우 효과적
        2. 탐색어로 자연어 사용-> 탐색시 절단 탐색을 통해 검색효율 높임
        3. 자연언어의 장점
          1. 개념을 그대로 표현
          2. 다양한 접근점 제공
          3. 신축성이 높다
          4. 정확률을 높일수 있다
          5. 특정성이 높다
          6. 색인불필요
          7. 데이터교환이 유리
          8. 새로운 개념표현이 쉽다
          9. 주제전문가에게 유리
          10. 입력비용이 저렴
        4. 자연언어의 단점
          1. 동음어, 동음이의어가 있는 경우 정확율 떨어짐
          2. 부적합 문헌 검색
          3. 상위개념에 대한 탐색이 어렵다
          4. 색인파일 유지비용이 높다
          5. 표준화가 불가능
          6. 재현율이 낮다
          7. 개념간의 관계정립 불가능
          8. 해당 분야의 어휘를 많이 알아야 함
      2. 통제언어색인
        1. 정보전문가에게 유리
        2. 자연언어에 비해 용어의 특정성 떨어짐
        3. 통제언어의 장점
          1. 동의어,동음이의어 통제
          2. 부적합 문헌을 통제하기 위한 전조합이 가능
          3. 상위개념 탐색이 쉽다
          4. 표준화가 가능
          5. 계층관계 허용
          6. 검색전문가에게 유리
        4. 통제언어의 단점
          1. 새로운 개념 표현이 어렵다
          2. 복잡한 개념 표현이 어렵다
          3. 일관성으로 인해 포괄성이 낮다
          4. 접근성이 낮다
          5. 통제어휘집의 유지비용이 필요하다
          6. 신축성이 낮다
    3. 전조합색인과 후조합색인
      1. 전조합색인
      2. 후조합색인
    4. 수작업색인과 자동 색인
      1. 수작업색인
        1. 색인작업자가 임의로 색인어를 부여하거나 통제어휘집을 참고하여 색인어를 선택
        2. 색인작업시 일관성 결어
      2. 자동색인
        1. 컴퓨터에 의해 작성
        2. 단어출현빈도의 통계적 분석에 기초
        3. 문제점
          1. 현빈도에 근거한 통계기법은 문헌의 주제분석에 부적합
          2. 불용어리스트가 주제분야에 따라 달라 부적절한 색인어 선택
          3. 자연어색인이므로 용어의 통제 불가능
          4. 동의어사전이나 용어절단기법으로 검색효율 높임
          5. 표제 및 초록 도는 본문의 기계가독데이타베이스 구축
          6. 경제적인 색인작업 가능
          7. 신속한 정보검색 가능
    5. 인용문헌을 이용한 색인기법
      1. 종류
        1. 직접색인
        2. 간접색인
          1. 문헌 속에 내포된 인용문헌을 이용하는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