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 평면도 작성
    1. 토공, 배수 ,부대 공종그룹중첩
    2. 도면의 표준화 확인
    3. 그리드 및 좌표 확인
    4. 기준점 및 도로정보표 등 도로 부속물과 행정경계 및 지명 표시
    5. 평면도 정리 : match line 설정, 불필요 객체 치수정리(산마루측구, 부체도로, 법정도로 ..), 표지판 정리, 연거리 이정 입력, 방위 입력
    6. 도로중심선으로부터 120m정도까지 지형 및 지형물 표시
    7. 파일명작성
    8. 예) STA.43+580 일 경우 파일명은 043K5P.dwg
  2. 2. 종단면도 작성
    1. 도면의 표준화 확인
    2. 연거리 이정 입력
    3. 파일명작성
    4. 예) STA.43+580 일 경우 파일명은 043K5V.dwg
  3. 3. 횡단면도 작성
    1. 단위평면도 범위에서 가장 긴구간을 차지하는 범위의 대표횡단 선정
    2. 도면의 표준화 확인
    3. 연거리 이정 입력
    4. 파일명작성
    5. 예) STA.43+580 일 경우 파일명은 043K5H.dwg
  4. 4. 배치영역 도면구성
    1. 모델영역 도면을 배치영역에 각 평면, 종단, 횡단을 축척에 맞게 부합되는 규격에 따라 배치
    2. 500m단위로 이정심벌 입력(IC/JCT 도면 제외)
    3. 구조물정보 심벌 입력
    4. 도면 도각정보 입력
    5. 현황도에 적합한 색상으로 변경
    6. 파일명작성
    7. 예) STA.43+580 일 경우 파일명은 043K5PV.dwg
  5. 5. 구조물도 작성
    1. 교량도면
      1. 파일목록 도구사용 시설별 파일명 변경(ReNamer)
      2. 교량1차정리
      3. ReNamer 실행
      4. 파일 및 목록을 DRAG
      5. Presets > Manager > 교량1차정리
      6. Insert > Edit Rule에서 변경할 파일명(BRCODE+v+일련번호) 입력 > Save Rule
    2. 터널도면
      1. 파일목록 도구사용 시설별 파일명 변경(ReNamer)
      2. 교량1차정리
      3. ReNamer 실행
      4. 파일 및 목록을 DRAG
      5. Presets > Manager > 교량1차정리
      6. Insert > Edit Rule에서 변경할 파일명(BRCODE+v+일련번호) 입력 > Save Rule
    3. 시설물도면
      1. 파일목록 도구사용 시설별 파일명 변경(ReNamer)
      2. 교량1차정리
      3. ReNamer 실행
      4. 파일 및 목록을 DRAG
      5. Presets > Manager > 교량1차정리
      6. Insert > Edit Rule에서 변경할 파일명(BRCODE+v+일련번호) 입력 > Save Rule
  6. 6. 노선도 및 연결도 작성
    1. 노선도 : 지리도형정보체계의 레이어로 작성(도로중심선, 도로경계선, 보조선, 중심이정, 상하행이정, IC/JCT, 교량, 터널, 관리기관, 영업소, 휴게소, 요금징수소, 명칭)
    2. 연결평면도 : 단위 종평면도를 연결된 도면으로 작성
    3. 연결종단면도DB
  7. 7. 현장조사 사진정리
  8. 8. 폴더구성
  9. 9. 준공설계도 파일명-000k0pv
  10. 10. 인덱스 작성
  11. 11. 출력준비- 출력 전 칼라 변경, 표지, 목차, 연결평면도, 노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