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 요구도조사
    1. 선행연구 분석 : 국내연구 32편, 국외연구 25편.
    2. FGI 시행 : 소아청소년과병동 수간호사 1인 5년 이상 근무경력의 간호사 3인 주제 : 학령전기 천식아동의 질병인지 및 약물흡입치료적응.
    3. FGI를 토대로 소아청소년과 외래 약물흡입치료를 요하는 학령전기 천식아동 13명을 대상으로 사전요구도 조사함.
    4. 조사결과 : 약물흡입치료시의 영향요인 파악함. 약물흡입치료시 나는 기계소음(46.2%)> 마스크 착용은 (23%)>약물의 분무(15.4%)> 앉아 있는 것(7.7%) = 없다(7.7%)
    5. 구성요인 도출 : 인지영역, 운동영역.
  2. 2. 자원과 환경분석
    1. 자원
      1. 교육프로그램의 수행 : 7년차, 석사학위를 소지한 소아청소년과 병동의 연구간호사 2인.
    2. 장소
      1. 종합병원 2곳
      2. 아동이 친숙한 아동침상에서 진행함.
  3. 3. 학습영역 분석
    1. 인지영역 : 질병인지, 약물흡입치료 시 마스크 착용, 약물 분무, 기계 소음, 즐거웠던 일 회상하기 등
    2. 운동영역 : 손 씻기, 바른 자세로 앉기, 큰 숨쉬기, 양치질하기
  4. 4. 영역별 목표수립.
    1. 인지영역 : '이해한다', '알수있다'
    2. 운동영역 : '수행한다'
  5. 5. 수업단계 확인
    1. 주의력집중, 학습목표 제시, 사전지식 재생자극 및 자료제시, 학습안내 제공, 수행유도 및 피드백제공, 수행평가와 파지 및 전이의 향상의 단계.
      1. 주의력집중, 학습목표 제시, 사전지식
      2. 재생자극 및 자료제시, 학습안내 제공, 수행유도 및 피드백제공, 수
      3. 행평가와 파지 및 전이의 향상의 단계에
  6. 6. 매체개발
    1. 아동용 그림용 책자 개발 : '숨쉬기가 편해졌어요!'
    2. 보호자용 도우미 북 개발
  7. 7. 교사훈련
    1. Roy 적응이론, Gagné와 Briggs의 학습이론의 학습.
    2. 매체를 통한 시범훈련.
  8. 8. 형성평가
    1. 시범교육 실시 : 3명의 아동, 보호자 대상.
    2. 총 5-7분 소요됨.
    3. 병동간호사와 구별하기 위해
  9. 아동과 간호사의 원활한 상호작용과 매체를 통해 성취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간호목표 설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