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차례 아래의 +표시를 누르면 내용이 나옵니다.
  2. 집합과 자연수
    1. 집합
      1. 집합의 뜻과 표현
        1. 집합의 뜻
          1. 원소: 집합을 이루는 대상
          2. 집합: 대상 또는 구성원을 분명히 알수있는것들의 모임
          3. 집합이 되는예: 12의 약수-1,2,3,4,6,12
        2. 유한집합
          1. 집합A={1,2,3,4,6,12}←이처럼 원소의 개수를 셀수있는 집합을 '유한집합'이라 한다
          2. 15의 약수의 모임{1,3,5,15}
        3. 무한집합
          1. 자연수의 모임의 집합 {1,2,3,4,5,6…}←이처럼 원소의 개수가 무한하여서 셀수없는 집합을 '무한집합'이라한다
          2. 유리수의 모임
        4. 공집합
          1. 1보다 크고 5보다 작은 5의 배수{ }←이처럼 { }안이 텅 비어있을때를 '공집합'이라 한다. 공집합도 원소의 개수가 0개 이기때문에 유한집합이라할수있다
          2. 2보다 크고 4보다 작은 4의 배수
          3. *공집합 기호: ø '공집합' 이라 읽는다 (파이 아님!!)
        5. 집합의 표현
          1. 3∈A - 3은 집합 A의 원소이다
          2. 3∈A - 3은 집합A의 원소가 아니다
          3. 집합을 나타낼땐 {중괄호}를 사용한다.
          4. 조건제시법: 원소의 개수가 많거나 무한해서 포현하기가 어려울때 원소들의 공통된 조건을 제시하여 집합을 나타내는 방법
          5. C={ a│a 는 72의 약수}
          6. 원소나열법: 집합에 속하는 원소를 ( )안에 하나하나 모두 나열하여 나타내는 방법
          7. *원소나열법으로 표현시 주의사항
          8. 원소의 배열순서는 관계없다
          9. {1,2,3}={2,1,3}={3,1,2}
          10. 같은원소는 중복해서 표현하지 않는다
          11. {1,2,2,3,4} X
          12. {1,2,3,4} O
          13. 원소와 원소사이에는 쉼표를 찍어 구분한다
          14. 집합A의 원소의 개수 6개→n(A)=6
          15. 위에서 n은 number의 줄임말이다
          16. 벤다이어 그램: 집합을 그림으로 나타냄
      2. 집합사이의 포함 관계
        1. 부분집합
          1. 집합A의 모든 원소가 집합B의 원소일때 A를 B의 부분집합이라한다
          2. A={X|X는 12의 약수} = A={1,2,3,4,6,12} B={Y|Y는 6의 약수} = B={1,2,3,6} 이때 B⊂A
          3. *부분집합의 성질
          4. ø⊂A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다
          5. A⊂A 모든 집합은 자기 자신을 부분집합으로 가진다
          6. 진부분집합
          7. A의 모든 원소가 B의 원소일때 A를 B의 부분집합이라 한다
      3. 집합의 연산
        1. 교집합
    2. 자연수의 성질
      1. 소인수 분해
      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3. 십진법과 이진법
      1. 십진법
      2. 이진법
  3. 정수와 유리수
    1. 정수
      1. 양수와 음수
      2. 유리수의 대소관계
    2. 정수의 사칙계산
      1.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
      2. 정수와 유리수의 뺄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