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대사와 운동
-
ATP생성체계
-
인원질시스템
-
공액반응에 의한 ATP생성
- :ATP는 운동 중 에너지로 사용, 운동 후에는 PC를 재합성.
- PC는 운동중 분해된 에너지가 ADP와 유리인산염을 결합해 ATP를 재합성한다.
- PC를 분해하는 효소: CK(PC+ADP=>(ck)ATP+C), MK(ADP+ADP=>(mk)ATP+AMP)
-
체내 인산염이 소량: 단시간 고강도운동에 이용
- 가장빨리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유
- 인원질과정은 복잡한 화학적 반응에 의존하지 않는다.
- 환기작용에 의한 활동 근육까지의 산소공급에 의존받지 않는다.
- ATP와PC가 모두 근육 내에 직접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
젖산시스템
- 최대하 운동초기 산소결핍 부족부분과 최대운동 중 대부분에너지공급
-
무산소적 해당과정
- 산소공급없이 근육세포의 세포질내에서 일어난다(얻을 수 있는 ATP는 소량-산소공급X에너지공급한다는 측면의의)
- 해당과정의 주요효소:PFK, 포스포릴라아제, 헥소키나제, 피루브산키나제, 젖산탈수소효소
- 글리코겐은 해당과정을거쳐 에너지를 공급-해당과정후 산소의 공급X-초성포도산(피루빅염)이 젖산으로 축적
- 이러한 반응을 촉진하는 효소(LDH)로인해 젖산과 NAD+생성, 이러한 이유로 젖산형성은 NADH가 NAD+로 전환되어 해당과정 유지
- NAD: 수소의 중요한 운반체. 산소가 부족시 초성포도산에 수소를 주어 젖산 형성, 산소가 충분하면 미토콘드리아로 이동
-
무산소성 해당과정에 사용되는 글루코스
- 글루코스분자가 혈액으로부터 근세포막을 통해 세포내로 유입-간글리코겐의 분해에 의해 전달된 글루코스는 해당과정을 거쳐 2ATP를 생성
- 근세포내에 이미 저장된 글리코겐으로부터 당원분해과정에 의해 유리된다. 근글리코겐의 경우는 해당과정을 거쳐 3ATP를 생성한다.
-
해당과정의 2단계
- 에너지 투자(소비)단계
- 혈중 글루코스(2ATP소비), 근글리코겐(1ATP소비)
- 에너지 생산 단계
- 4ATP와 2NADH생성, 2피루빅염 또는 2젖산염
- 따라서 혈중글루코스 형태로 전달:2ATP, 근글리코겐: 3ATP 생산
- 해당과정에서 수소이온은 NAD가 수소이온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환원되어 NADH를 형성
- NADH가 NAD로 전환되는 것
- 산소가 충분하다면 NADH의 수소이온은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ATP의 유산소성 생산에 기여한다.
- 미토콘드리아의 수소이온이 충분치 않다면 피루브산이 수소이온을 받아들여 젖산을 형성한다, 이러한 반응을 촉진하는 효소는 젖산 탈수소효소(LDH) 젖산과 NAD를 형성한다.
-
유산소시스템
-
ATP의 유산소적 생산은 미토콘드리아에서 만들어짐, 크렙스사이클과 전자전달계 상호협력
-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산화
- 탄수화물: 해당과정을 거쳐 아세틸코아의 형태로 크렙스사이클로 이동
- 지방: 베타산화과정을 거쳐 아세틸코아의 형태로 크렙스사이클로 이동
- 단백질: 글루코스 신생합성(간)을 통해 글로코스 형태의 에너지로 이용
- 크렙스(TCA)사이클
- GTP(구아노신삼인산)을 형성(2ATP)
- CO2이탈
- 수소이온과 전자가 분리
- 전자전달계
- 수소이온과 전자가 전자전달계에 들어와 산소와 결합해 물을 형성한다.
- 근글리코겐의 유산소 시스템에 의한 ATP의 생성(대부분 인체대사에 사용)
- 유산소성해당작용-3ATP(근글리코겐),2ATP(간글리코겐)
- 전자전달계로 가는 NADH의 전달을 통해 생성-30ATP
- 2FADH의 전달을 통해 합성- 4ATP
- 크렙스사이클 자체 생성-2ATP
- 지방의 에너지 대사
- 중성지방이 주요공급원
- 라이페이스(지방분해효소)
- 글리세롤+유리지방산
- 코티졸, GH, 카테콜라민
- 라이페이스 지방분해효소 활성화
- 베타산화작용
- 지방산을 산화시켜 아세틸코아를 형성
- 크렙스사이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며 전자전달계를 통한 ATP생성
- 단백질의 에너지 대사
- 아미노산으로 분해
- 피루빅산으로 전환
- 아세틸코아로 전환
- 아미노산은 크렙스사이클 중간물질로전환
-
생체에너지조절
-
ATP-PC체계의 조절
-
CK(크레아틴키나아제)
- ADP농도증가하면 촉진, ATP가 높으면 제한
-
해당과정의 조절
-
PFK(인산과당분해효소)
- 운동시작: ADP+Pi 수준증가-PFK활성화
- 해당과정속도빨라짐
- ATP수준이 높으면 PFK활동이 제약을 받아 해당과정이 느려짐.
- 세포내 수소이온과 크렙스사이클의 생성물인 구연산염의 증가도 PFK활동제한.
-
포스포릴라아제(가인산분해효소)
- 근형질칼슘농도증가
- 가인산분해효소활성화
- 당원을 포도당으로 분해
- 해당과정의 원료를 제공
-
크렙스사이클과 전자전달계 조절
- 이소구연산 탈수소효소(ATP에의해억제,ADP+Pi 수준의 증가로 자극)
-
미토콘드리아 칼슘증가
- 이소구연산탈수소효소 활동자극
- 운동멈추면 세포의 ATP수준이 증가(ADP+Pi)감소하여 정상수준유지
-
에너지소비
-
산소소비효율
- 산소소비효율이 가장 높은 것은 탄수화물이다.
-
최대하 운동중(최대강도가 아닌 것 5분이상)
- 탄수화물이 먼저이용, 고갈 후 지방이용, 단백질이용
-
포도당과 유리지방산의 이용은 운동강도에 영향받음
- 강도높을때
- 포도당기여도높다
- 강도낮을때
- 유리지방산기여도높다
- 산화적인산화 과정을 통해 ATP를 공급받는다.
-
최대 운동중(최대강도2-3분)
- 운동강도가 높아질수록 더 많은 양의 탄수화물이 사용, 지방비중은 줄어든다.
- 대부분 젖산체계에 의해 에너지공급 받음
-
운동대사반응
-
안정시에서 운동으로의 전환
-
산소결핍
- 운동초기에 산소섭취지연에 따른 현상
- 운동초기 순간적으로 산소섭취량이 증가하지 못하는 것은 무산소성 에너지가 ATP생산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
- 항정상태도달하면 신체에서 요구하는 ATP는 유산소성 대사작용에 의하여 충족될 수 있다.
-
운동초기 충분한 ATP를 공급하는데 유산소시스템이 제한을 받는 이유
- 산소섭취가 새로운, 보다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는데에는 적어도 2-3분이 소요
- 모든 사람이 산소를 섭취할 수 있는 최대비율, 즉 최대 유산소성 파워에 한계
-
지구성 트레이닝을 통한 운동초기 산소결핍 감소
- 미토콘드리아의 수증가, 모세혈관의 밀도 증가
-
운동에 따른 대사적 반응
- 단시간고강도
-
장시간운동
- 유산소성대사
- 산소섭취량의 항정상태는 대게 적당한 거리에 대한 최대하 운동 중 계속유지
- 예외규칙2
- 덥고습한환경
- 비교적 높은 속도유지(75%최대산소섭취량)
-
점증부하운동
- 운동중 산소운반과 이용의 최대능력(VO2max)은 심폐지구력의 가장 합리적인 측정이다.
- 영향요인
- 근수축을 위해 산소운반하는 심폐계의 능력,산소섭취하고 ATP를 유산소성으로 생산하는 근육의 능력
- 젖산역치 발생시키는 잠재적요인
- 근육의 낮은 산소량
- 미토콘드리아에서 NADH + H+생성속도를 유지하기위한 수소왕복체계실패-피루브산->젖산
- 해당작용의 활성화
- 피루브산에서 젖산촉진효소(LDH)와 관계
- 속근섬유의 동원
- 속근에서 발견되는 LDH는 피루빅산에 친화력이 높다.
- 젖산형성촉진
- 젖산제거 비율의 감소
- 젖산 생성 증가, 젖산제거 속도 감소
- (혈중 젖산농도= 혈액유입젖산농도- 혈액에서 제거되는 젖산농도)
-
연료선택의 결정요인들
-
운동강도와 연료선택
- 강도높-탄수화물대사가 점증적으로 증가, 지방대사감소(연료교차지점지나면 에너지공급이 지방->탄수화물점진적변환)
- 속근섬유동원
- 운동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많은 속근섬유사용
- 해당작용의 효소 多, 미토콘드리아 및 지방분해효소(지방분해효소)小
- 혈중 에피네프린 수준의 증가
- 당원분해, 탄수화물대사, 젖산생성증가
- 운동중 당원사용조절기전(인산화효소활성화)
- 운동초기-칼슘 칼모듈린체계에 의해 조절
- 운동시작시 근형질세망의 칼슘분비로 인해 활성화
- 장시간, 고강도운동-에피네프린/순환성 AMP체계
-
운동시간과 연료선택
- 낮은강도 장시간 운동, 탄수화물에서 지방으로 서서히 전환
- 혈중 에피네프린증가
- 리파제 효소활동증가
- 지방분해를 촉진하여 혈중 및 근육의 유리지방산을 증가
- 지방대사활성화
-
지방과 탄수화물 대사의 상호작용
- 신체에 저장된 탄수화물이 고갈되면, 지방의 대사속도 또한 감소한다.
- 탄수화물고갈은 이용할수있는 해당과정의 속도를 감소, 근육내의 피루브산농도 또한 감소
- 크렙스사이클 구성성분의 수를 감소
- 유산소성 ATP생성속도 낮춘다.
- 지방은 크렙스 사이클 산화에 의해 대사되기 때문에 당원감소로 인한 크렙스 사이클 중간물질의 감소는 지방대사에 의한 ATP생성속도를 감소시킨다.
- 지방은 탄수화물의 불꽃안에서 탄다고 한다.
-
신체연료
- 운동강도가 낮을 때
- 근육지방보다는 유리지방산의 기여도가 높다.
- 근육당원보다는 혈장 포도당의 기여도가 높다.
- 운동강도가 높을 때
- 유리지방산보다는 근육지방의 기여도가 높다.
- 혈장 포도당보다는 근육당원의 기여도가 높다.
-
운동후 회복
-
운동후 초과 산소섭취량(EPOC)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근육에서 PC재합성
- 근육과 혈액의 산소저장
- 젖산제거
- 체온상승
- 호르몬상승
- 운동후 심박수 및 호흡수 상승
-
빠른요소
-
비젖산산소부채
- 인원질보충
- 마이오글로빈의 산소재포화, 혈액의 산소보충
- 증가된 환기량에 대한 에너지 소비, 심장활동 증가
-
느린 요소
-
젖산 산소부채
- 젖산 산화(이산화탄소 물로 산화)
- 글리코겐 재합성
- 카테콜라민의 열량효과
- Q10효과 수반하는 체온상승(세포의 대사활성은 온도10도씩 상승할 때마다 2배증가)
- 환기량 증가에 따른 산소소비
- 증가된 심장근육 활동에 대한 산소소비
- 소디움(Na+)포타시움(K+)펌프활성 증가(이온재분배)
-
회복기 저장에너지원의 보충
-
ATP와PC의 재보충
- 30초내 70%, 3-5분내 100%
-
근육글리코겐의 고갈과 보충
- 지속적인 지구성운동
- 2일 고탄수화물
- 단속적인 단시간 운동
- 24시간
- 지속적인 운동과 단속적인 운동후 근육 글리코겐 재합성 차이 발생이유
- 운동중 고갈된 글리코겐의 총량
- 글리코겐전구체의 가용성
- 골격근내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섬유형태
-
혈액과 근육의 젖산염 감소
-
운동성회복 > 안정성회복
- 물과 이산화탄소의 산화, 글루코스의 재합성을 위한 간으로의 젖산분배가 빨라진다.
- 심장,활동골격근의 연료로써의 젖산 이용이 높다.
-
젖산염의 제거방법
- 산회되어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
- 글루코스와 글리코겐으로 전환
- 단백질의 전환
- 뇨와 땀으로 배출
-
산화마이오글로빈의 저장
-
저장산소의 보충
- 단속적인 운동에 중요
- 운동 인터벌 중에 사용되고 회복 인터벌 중에 빠르게 회복되기 때문
- 회복기의 빠른 요소 중에 소비된 산소는 산화 마이오글로빈저장의 보충을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
운동과 피로
-
근피로
- 중추신경계
-
국부적근피로
- 중추신경계
- 수축기전
- 젖산축적
- 칼숨방출감소
- ATP-PC의 저장감소
- 근글리코겐의 저장감소
- 산소부족과 부적절한 혈류공급
- 신경근연접
- 아세틸콜린 방출 감소
- 마이오신 십자형가교 결속력 약화
-
수축기전
- 젖산축적
- 칼숨방출감소
- ATP-PC의 저장감소
- 근글리코겐의 저장감소
- 산소부족과 부적절한 혈류공급
-
신경근연접
- 아세틸콜린 방출 감소
-
운동종류에 따른 근피로
- 강도높은 운동(400M전력질주)에 의한 근피로
- 근육에 무기인산염, 수소이온 축적 때문이다.
- 대사산물은 수축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근력을 감소시킨다.
- 장시간의 운동에 의한 근피로
- 자극과 수축작용의 실패에 기인한다.
- 근형질세망으로부터 칼슘이온의 방출이 감소
- 마이오신 십자형가교의 결속력을 약화시켜 근력이 약해짐
- 근피로는 근력의 약화를 초래한다.
-
내분비계와 운동
-
신경내분비학
-
혈액호르몬농도
- 내분비샘으로부터의 호르몬분비율
- 호르몬의 분비율과 대사율
- 혈징내의 수송단백질양
- 혈장량의 변화
-
호르몬활동기전
- 세포막수송(인슐린)
- 핵내의 DNA자극(스테로이드)
-
2차전령
- G단백질(세포의 막 내부 위치)호르몬수용기 상호작용
- 아데닐사이클라제활성화
- 순환성AMP가 ATP로부터 형성
- 근육에서 당원을 포도당, 지방조직에서 중성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전환하는데 이용
- Ca++채널 활성화
- 칼모듈린단백질과 결합
- 포스포리파아제 C를 활성화
- 이노시톨삼인산
- 디아글리세롤
- 단백질 전이효소C
-
요약
- 호르몬은 세포막의 수송능력을 변화시키고 DNA자극하여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고 2차전령(순환성AMP, Ca++, 이노시톨마인산, 디아글리세롤 )활성화
-
호르몬
-
뇌하수체
- 전엽
- 성장호르몬
- 간에서 새로운 포도당 합성증가
- 지방조직으로부터의 지방산 동원증가
- 혈장 포도당의 이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슐린 활성 억제
- 후엽
- 항이뇨호르몬
- 체액유지하기 위해 신장관으로부터 모세혈관으로 수분의 재흡수를 도움
- 신장에서의 수분손실을 감소
- 옥시토신
-
갑상선
- T3, T4
- 단백질 합성증가
- 대부분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크기, 수를 증가
- 세포내부로의 글루코스 신생합성 촉진
- 지방의 동원을 촉진시켜서 유리지방산이 산화과정에 더 많이 사용될수 있도록 해준다.
- 칼시토닌
- 혈장칼슘농도를 감소시킨다.
- 뼈에서 골파괴 세포의 활동을 저하
- 뼈의 분해억제, 신장에서 칼시토닌은 뇨관으로부터의 칼슘 재흡수를 감소
- 소변을 통한 칼슘을 배설증가
-
부갑상선
- 부갑상선호르몬
- 혈장의 칼슘농도를 증가시킨다.
- 신장에소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킨다.
-
부신
- 부신수질
- 에피네프린
- 주로 혈당 조절, 심박수와 호흡수 증가
- 노르에피네프린
- 혈당햘 증가(E보다는 적은 효과), 혈압상승
- 운동을 꾸준히 해주면 운동시 분비되는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양이 줄어듬
- 운동숙련자는 최대 운동시에는 더 많은 양의 에피네프린을 분비한다.
- 운동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 부신피질
- 알도스테론(무기질코티코이드)
- 혈당 K+ 농도에 의해 조절-> 혈장량의 감소-> 레닌효소분비->레닌의 기질-> 안지오텐신1전환
- ->안지오텐신2전환->알도스테론분비자극->Na+재흡수 증가
- 코티졸(당질코티코이드)
- 체내 혈당조절
- 간, 당, 신생합성의 증가와 지방 저장 증가의 효과를 가져옴
- 스트레스 단백질 합성
-
췌장
- 인슐린
- 랑게르한스섬 B세포에서 분비
- 혈중 글루코스 농도저하
- 혈액속의 당분을 세포내부로 흡수시켜 혈당을 낮춘다.
- 인슐린의 부족은 조직에서 포도당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혈장 내 포도당 축적을 야기시킨다.
- 글루코스 이용률 및 지방합성 증가
- 글루카곤
- 랑게르한스섬 알파세포에서 분비
- 혈중 글루코스 농도 증가
- 단백질 및 지방분해 증가
- 호르몬의 조절과 활동
-
운동시 기질 동원을 위한 호르몬 조절
-
근육당원이용
- 칼슘이온-칼모듈린(근형질세망의 칼슘분비)
-
에피네프린-순환성 AMP
- 당원분해의 과정
- 2차전령에 의해 시작
- 근육세포에서 단백질 전이효소를 활성화, 세포에서 B-아드레날린 수용기와 결합
- 혈장 에피네프린이 순환성 AMP형성을 자극한다.
- 근당원의분해는 칼슘이온-칼모듈린기전, 순환성 AMP기전 어느것에 의해서 도 시작될 수 있다.
-
운동시 혈당의 중요성
-
서서히 작용하는 호르몬
- T3, T4 부갑상선 호르몬
- 코티졸
- 성장호르몬
-
빠르게 작용하는 호르몬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 인슐린, 글루카곤
-
혈장포도당 농도유지의 4가지 과정
- 간에 저장된 당원으로부터 포도당 동원
- 혈장포도당이 절약을 위해서 지방세포조직으로부터 혈장 유리지방산의 동원
- 간에서 아미노산, 젖산, 글리세롤로부터 새로운 포도당 합성
- 유리지방산을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포도당이 세포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
- 목적: 혈장 포도당 농도를 유지하면서 활동을 위한 연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호르몬과 기질의 상호작용
-
운동전 포도당의 섭취
- 혈장 포도당의 증가
- 혈장 인슐린 농도 증가
- 유리지방산 동원을 감소시키고 근육이 부가적인 근육당원을 이용하도록 강요
-
강한운동중
- 혈장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 코티졸,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페네프린 증가
- 인슐린 감소
- 탄수화물을 보존하고 혈장 포도당 농도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지방조직으로부터의 유리지방산의 동원을 조력한다.
-
혈중젖산농도증가
- 혈장 유리지방산 농도 감소
- 중성지방의 재합성 촉진(근육으로의 유리지방산 이동감소)
- 지방조직으로의 불충분한 혈류량
- 혈장에서 유리지방산을 수송하는데 필요한 혈장단백질(알부민)의 부족
-
대사와 에너지에 미치는 호르몬의 영향
-
운동동안의 글루코스 대사조절
-
혈장 글루코스 수준
- 글루카곤
- 카테콜라민
- 코티졸
- 성장호르몬
-
근육의 글루코스 흡수
- 인슐린
-
트레이닝은 운동에 대한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 인슐린과 글루카곤 반응의 감소를 유발함
- 즉 인슐린이 감소도는 현상이 감소되고 글루카곤의 증가현상이 감소된다.
-
운동 동안의 지방대사 조절
- 성장호르몬
-
카테콜라민
- 에피네프린
- 노르에피네프린
- 코티졸
- 글루카곤
- 장시간에 걸친 운동 중에는 글루카곤,성장호르몬,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량이 증가하고 인슐린의 분비량은 감소
- 이러한 호르몬 반응에 의해 지방조직에서 유리지방산의 동원이 활성화되어 탄수화물의 소모를 줄여 혈당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
운동동안 신체수분과전해질균형에 대한 호르몬의 영향
-
알도스테론-레닌 앤지오텐신의 작용
-
알도스테론
- 신장의 소디움 재흡수에 기여해 신체의 수분 함유량을 증가
- 혈장량 보충
- 혈압을 정상 상태로 상승시킴
-
항이뇨 호르몬
- 삼투질이 증가하면 시상하부는 뇌하수체 후엽으로 부터 ADH분비를 자극
- ADH는 신장에서의 수분재흡수를 증가시켜 인체의 수분배설을 감소시킨다.
-
운동중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해야 하는 이유
- 혈액량과 혈장량을 감소시켜 조직의 산소 공급 능력을 저하
- 탈수를 예방
-
근육계와 운동
-
골격근 구조
-
근원세사
- 마이오신
-
액틴
- 트로포닌
- 트로포마이오신
-
근섬유(근원섬유, 근원세사)
- A밴드
- I밴드
- H영역
- Z선라인(근절)
-
근형질
- 근형질세망
- T-세관
-
근육내 수용체
-
근방추
-
신전
- 근육의 신전을 감지한다.
- 감각신경은 척수에 신호를 보낸다.
- 감각신경은 알파운동신경과 연접해 있다.
- 알파운동신경의 자극은 근육을 수축시켜 근육신전에 저항한다.
-
골지건 기관
-
장력
- 골지건 기관은 증가하는 장력을 감지한다.
- 감각신경은 이 신호를 척수에 보낸다.
- 감각신경은 알파운동신경과 연접해 있는 억제성 개재원과 연접해 있다.
- 알파운동신경의 억제로 근육은 이완되고 건의 장력이 감소한다.
-
근수축
-
골격근 수축의 기본원리
-
자극에 의해서 수축한다.
- 최대 자극
- 최대하 자극
- 최소 자극(역치자극)
- 최소하 자극
- 실무율
-
골격근의 수축은 장력수축, 연축, 경직수축, 단계현상, 섬유성수축 중 하나의 형태로 수축한다.
- 장력수축
- 등척성수축
- 단축성수축
- 신장성수축
- 등속성수축
- 연축
- 잠복기
- 수축기
- 회복기
- 경직수축
- 단축
- 파장가중
- 경직수축
- 단계현상
- 섬유성 수축
-
힘의 등급에 따라 수축한다.
- 운동단위
- 근섬유: 신경섬유 의 비율
- 신경자극의 특성
- 자극의 강도
- 자극의 빈도
- 근력단계의 조절기전
- 다중운동단위의 가중(중합)
- 파장의 중합(가중)
- 수축전 근섬유의 길이
- 적정길이 보다 짧다.
- 적은수의 십자형가교 상호작용
- 장력감소
- 적정길이
- 최대 십자형가교 상호작용
- 최대장력발생
- 적정길이보다 길다.
- 십자형가교의 상호작용 없음
- 장력이 발생하지 않음
- 관절의 각도
- 근육운동의 속도
- 단축성과 신장성
- 힘속도의 상관관계와 파워속도의 상관관계
- 근육의 대사작용
- 근피로
- 국부적근피로
- 중추신경계
- 수축기전
- 젖산축적
- 칼숨방출감소
- ATP-PC의 저장감소
- 근글리코겐의 저장감소
- 산소부족과 부적절한 혈류공급
- 신경근연접
- 아세틸콜린 방출 감소
- 근피로는 근력의 약화를 초래한다.
- 강도높은 운동(400M전력질주)에 의한 근피로
- 근육에 무기인산염, 수소이온 축적 때문이다.
- 대사산물은 수축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근력을 감소시킨다.
- 장시간의 운동에 의한 근피로
- 자극과 수축작용의 실패에 기인한다.
- 근형질세망으로부터 칼슘이온의 방출이 감소
- 마이오신 십자형가교의 결속력을 약화시켜 근력이 약해짐
- 온도
-
골격근은 하나씩 수축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으로 수축한다.
- 주동근
- 동작을 일으키는 데 주역할을 하는 근육
- 길항근
- 주동근이 수축하여 동작을 일으킬 때 이완되는 근육
- 협력근
- 주동근이 수축할 때 동시에 수축항 주동근이 하는 일을 돕거나 움직이는 부분을 안정시켜 좀더 효과적으로 동작을 일으키게 하는데 협력하는 근육
- 근육은 당기기만 하고 밀지는 않는다.
- 뼈와 관절은 지렛대의 역할을 한다.
- 근육은 그것이 움직이는 뼈보다는 신체 중앙 쪽에 있다.
-
근육이 수축할 때 ATP가 공급되는 3가지 방법
- 크레아틴 인산
- 해당작용
- 산화적 인산화
-
근신경 연접
- 흥분성 자극이 축삭 말단에 도달하면 소포에 저장되어 있던 아세틸콜린이 방출된다.
- 근섬유의 근섬유막에 있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에서 탈분극이 일어난다.
- 신경자극은 근형질의 T세관을 거쳐 근형질세망의 소포에 도달한다.
-
소포에 저장되어 있던 칼슘이 방출된다.
- 칼슘에 감수성을 갖는 트로포닌이 트로포마이오신의 위치를 변화시켜 액토마이오신 복합체가 형성된다.
- 십자형교 끝에 뭉쳐져 있는 ATP가 ATPase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한 에너지를 통해 수축이 일어난다.
-
근수축의 과정
-
근세사활주설의 5단계
- 안정
- ATP가 아직 충전되지 않아 액틴과 마이오신이 분리
- 칼슘은 근형질세망에 있다.
- 흥분과 결합
- 신경자극이 운동신경 말단에 달다르면 아세틸콜린이 신경연접부로 방출되고 칼슘이 근형질세망으로부터
- 근형질로 방출되어 트로포닌과 결합하여 트로포마이오신의 위치를 변형시켜 액틴의 활성부위가 노출되고 액코마이오신 복합체가 형성
- 수축
- ATP가 ATPase에 의해 분해 되어 방출되는 에너지는 연결교를 회전시킴으로써 액틴이 마이오신 사이로 미끌어져 들어온다.
- 힘의 생성
- 재충전
- ATP가 재합성되어 다음부위에서 액틴과 마이오신의 재결합이 가능하도록 준비
- 액토마이오신 분리
- 이완
- 신경자극이 중단되어 칼슘이 근형질세망으로 되돌아가고 근수축이 완료
- 근이완과정
- 신경임펄스의 전달이 중단된다.
- 근형질세망으로부터 칼슘유리가 중지된다.
- 액틴의 결합부위에 결합하고 있던 칼슘이 근형질세망으로 들어가 저장된다.
- 액틴의 결합부위가 다시 닫히게 되고 굵은 세사의 머리부분과의 결합이 차단된다.
- 가는 세사는 바깥쪽으로 움직이고 근절(Z선)의 길이는 길어진다.
-
자극- 수축 결합의 단계(2단계)
- 자극
- 운동신경의 활동전위는 신경연접의 공간으로 아세틸콜린을 방출하게 한다.
- 아세틸콜린은 운동말판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탈분극을 유도하는 종판전위를 야기시키며
- 이는 근육 내 가로소관으로 전도된다. 이렇게 탈분극이 일어나면 근형질세망으로부터 칼슘이온이 방출된다.
- 수축
- 휴식상태에서는 마이오신 십자형가교는 액틴과 약한 결속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 탈분극이 일어나면 근형질세망으로부터 칼슘이온이 근형질로 방출된다.
- 이는 트로포마이오신의 위치를 변형시켜 액틴의 활동부위가 노출된다.
- 이에 따라 활성화된 마이오신 십자형가교는 액틴의 활동부위와 강하게 결합한다.
- 인원질은 마이오신 십자형가교로부터 방출되고 활성화된 십자형가교는 액틴을 잡아당긴다.
-
근섬유형태
-
근육의 종류
- 골격근
- 내장근
- 심근
-
골격근의 특성
-
생화학적 특성
- 산화능력
-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근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모세혈관의 수, 섬유 내의 미오글로빈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 ATPase 효소의 활동성
- 다양한 형태의 ATPase 효소의 동위형태가 존재하며 각각의 형태는 ATP를 활성화시키는 속도가 다르다.
- 따라서 활동성 높은 ATPase 효소를 갖고 있는 근섬유는 ATP 생성을 빠르게 촉진하여 근수축력을 강화 시킬 수 있으며
- 낮은 ATPase 는 근수축의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
수축특성
- 근섬유의 최대근력
- 근횡단 면적당 발휘되는 힘의 양
- 특이장력= 근력/근횡단면적
- 속근섬유는 지근섬유보다 더 강한 힘을 발휘하는가?
- 마이오신 십자형 가교의 숫자에 직접적인 원인(속근>지근)
- 근섬유의 수축속도
- 마이오신 ATPase 효소의 활동성
- 속근>지근
- 속근섬유가 지근 섬유에 비해 수축속도가 빠른 이유는?
- 신경세포의 세포체와 신경 섬유의 직경이 크고 신경 세포의 축삭이 더 발달
- 신경세포가 지배하는 근섬유수가 지근보다 많다.
- 근섬유의 근형질세망이 지근에 비해 발달해 있다.
- ATPase가 지근에 비해 빠른 기전을 가지고 있다.
- 근섬유의 효율성
- ATP를 사용한 에너지의 양/ 발휘된 근력
- 지근 > 속근
-
근섬유 형태의 특성
- 지근섬유
- 속근섬유
- 근섬유 형태와 수행능력
-
순환계와 운동
-
심폐계
- 심폐계의 주요목적
- 호흡계와 순환계가 한 쌍의 단위로 함께 작용한다.
-
심혈관계
-
순환시스템
- 심장
- 혈관
- 혈액
-
심장구조
- 심방
- 심실
- 판막과 심실충격
-
혈관시스템
- 동맥
- 정맥
- 모세혈관
-
순환
- 폐순환
- 체순환
-
심장의 전기적 활동
- 심장 자극전도 시스템
- 심전도
-
심장활동의 외인성 조절 및 부정맥
-
심장활동의 외인성 조절
- 부교감신경 시스템
- 교감신경 시스템
- 내분비 시스템
-
부정맥
- 서맥
- 빈맥
-
운동중 심박수 증가 구체적 기전
- 부교감 감소(아세틸콜린 감소), 교감 증가(카테콜라민 증가)
- 아세틸콜린
- 근육
- 탈분극, 근수축 촉진
- 심장
- 과분극, 심장수축 억제
-
심박출량= 1회박출량(SV) X 심박수(HR)
-
1회박출량
-
심장의 수행능력
- 1회박출량= 이완기 용량 - 수축기 용량
- 구출율= <(EDV-ESV) / EDV> X 100
-
1회박출량을 조절하는 3가지 변인
- 심실이완기말 혈액량(전부하)
- 프랭크-스탈링 법칙
- 정맥혈회기량 증가
- 1회 박출량증가
- 정맥혈 회기량을 조절하는 기전
- 근육펌프
- 골격근 수축에 의한 펌프
- 호흡펌프
- 호흡하는 동안 가슴 내 압력은 감소, 복부의 압력은 증가
- 복부부분에서 가슴으로 정맥혈의 흐름을 만들며 결과적으로 정맥혈회귀를 증가
- 정맥수축
- 혈액을 저장하는 정맥의 용량 감소에 의해 정맥혈회귀를 증가
- 정맥에서 감소된 용적량의 최종 결과는 심장 쪽으로 혈류를 이동
- 심실수축력(수축촉진 상태)
- 교감신경의 자극
- 카테콜라민
- 평균 대동맥 혈압(후부하)
- 평균동맥압= 심박출량 x 총말초저항
- 1회심박출량은 심장의 사후부하와 반비례
- 대동맥압이 증가하여 심박출량의 감소
- 운동하는 동안 소동맥관의 확장으로 심장의 사후부하 감소!
-
심실의 혈액 충만. 심실이 비워지는 능력
- 심실의 혈액충만
- 심장에 들어오는 정맥혈의 용량
- 심실의 팽창성(심실의 확장능력)
- 심실이 비워지는 능력
- 심실의 수축력
- 대동맥과 동맥 압
-
스포츠심장의 형태적 변화
- 지구성 트레이닝
- 심실용적의 증가
- 순발성 트레이닝
- 심근 두계층의 증가
-
심박수
-
맥박
- 요골동맥, 경동맥, 측두동맥
-
조절기전
- 부교감 신경
- 아세틸콜린
- 교감 신경
- 카테콜라민
-
안정시 HR
- 운동중 HR
- 증가이유
- 활동근육의 산소와 영양소 제공하기 위해서
- 정상상태(항정상태)의 HR
-
THR=HRR x X% + HRrest
- HRmax= 220- 나이
- HRR = HRmax - HRrest
-
심박출량(334P)
- 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른 심박출량의 변화
- 심박출량의 증가의 주된 목적이 근육 내의 증가된 산소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기 떄문에 심박출량과 운동강도 사이에는 직선적 관계
- 운동시작초기
- 운동강도 40-60% Vo2max
-
최대산소섭취량(Vo2max)
-
운동하는 골격근에 증가하는 산소 운반의 기전
-
VO2max= CO x a-vO2diff
- 심박출량의 증가
- 비활동 조직으로부터 활동하고 있는 골격근으로의 혈액 재분배
-
혈류재분배 - 운동 중 국부 혈류량의 조절
-
자동조절능력
- 혈관자체의 조절능력
- 산소감소,Co2증가, 칼륨이온, 수소이온, 젖산, 증가
- 소동맥관 팽창
- 혈류저항 감소- 혈류량 증가
-
외인성 신경 조절
- 교감신경의 자극
- 활동근육의 혈관확장
- 비활동근육의 혈관수축
- 참고: 트레이닝을 중지했을 때 vO2max가 빠르게 감소하는이유?
- 모세혈관의 밀도는 일정한 반면 근육의 미토콘드리아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
평균동맥혈압
-
동맥혈압 결정요인
- 혈관 내 혈액의 양
- 심박출량(심장 박동수와 수축력)
- 말초저항, 동맥혈관탄력성, 혈액점액성
- 심장의 박출량과 말초저항으로 기인되는 동맥내의 혈액량으로 결정
-
심박출량 x 혈관저항(말초저항)
- 혈액량증가
- 1회박출량 증가
- 심박수 증가
- 혈액의 점도 증가
- 말초저항 증가
-
혈류 = 압력/ 저항
-
혈압
- 맥압
- 평균동맥압
- 혈압의 순간적인 조절은 교감신경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혈압의 장기적인 조절은 신장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
혈류저항(말초저항)= 길이 x 점도 / 반지름4
- 혈관의 길이
- 혈액의 점성(두께)
- 혈관의 직경(반지름)
-
운동 중 혈압
- 최대하 운동 - 정상상태
- 저항성 운동 - 증가
-
평균동맥압(증가)= 심박출량 (증증증) x 총말초저항 (감감)
- 동맥혈압의 항상성(동맥혈압의 동적 항정상태)
- 심박출량의 증가가 총 말초저항의 감소보다 크다.
- 혈압은 운동시 직선적 증가-> 심박출량 증가
- 저항은 활동근의 혈관수축이 덜 하기 때문에 감소
-
운동시 순환계의 반응
- 안정시에서 운동으로의 전환
- 운동으로부터의 회복
-
점진적인 운동
-
점진적 운동시 심박출량의 증가
- 혈류에 대한 혈관저항감소
- 평균 동맥압의 증가
-
운동중 평균동맥압의 증가
- 수축기 혈압의 증가
- 이완기 혈압은 점진적 운동 중 일정
-
운동중 심박수와 수축기 혈압이 증가하는 것은 심장의 부하를 증가
- 운동중 심장에 부과되는 대사적 요구는 심근산소 요구량으로 예측
- 심근산소요구량= 심박수 X 수축기 혈압
-
안정시 운동시 심근의 산소 요구의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심박수
- 좌심실 크기
- 심근수축성
-
팡운동과 다리운동
- 팔운동 심박수와 혈압 > 다리운동 심박수와 혈압
-
심박수가 더 큰 이유
- 심장으로의 더 큰 교감신경자극 증가
-
혈압이 더 큰 이유
- 비활동근 그룹에서의 혈관수축
- 운동수행시 더 큰 그룹 근육(다리)과 관련 - 더 많은 저항 혈관들은 확장
- 심박출량X저항=혈압
- 다리의 더 낮은 말초저항은 더 낮은 혈압반영
- 간헐적인 운동
- 장시간의 운동
-
운동에 대한 심혈관 반응의 조절
- 중추명령 - 고위 중추
- 심혈관 조절 중추
- 근육의 화학적 기계적 수용기
- 압력 수용기
-
운동에 따른 심혈관계의 반응
-
심박출량 증가
-
심박수증가
- 교감신경 증가(부신수질- 카테콜아민)
-
1회박출량증가
- 정맥혈회기량
- 골격근 활동
- 심호흡
- 정맥수축
-
골격근으로의 혈류흐름 증가
-
혈류재분배
- 근육에서 대사적 혈관 확장(교감신경 자극감소)
-
동정맥 산소차
- 교감신경계에 의한 내장혈관 수축
-
호흡계와 운동
- 호흡계의 기능 및 목적
-
호흡계의 구조
- 전달영역
- 호흡영역
-
호흡의 원리 - 호흡역학
- 보일의 법칙
-
호흡근 작용
- 안정시
- 운동시
-
흡기
-
대기의 부피 < 폐내의 부피
- 체내에 공기가 들어오는 것으로 횡격막과 늑간을 이용하여 폐속의 압력을 낮게 하여 공기를 체내로 들어오게 함
- 횡격막이 내려간다. 복부의 내장들이 하방으로 이동, 늑골은 바깥쪽으로 이동- 흉막내 압력이 감소
- 대기압 > 폐내압
-
호기
-
폐내의 부피 < 대기의 부피
- 폐속의 압력을 높게하여 대사과정에서 생긴 CO2가 폐속의 압력을 높게하여 바깥으로 내뱉게 한다.
- 횡격막 위쪽으로 이동, 폐가 작아진다. 늑골은 하방 내부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압력이 증가
- 안정시에는 수동적으로 일어나고 운동중이거나 수의적인 과환기에는 복부에 위치한 복직근과 내복사근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이루어진다.
- 폐내압 > 대기압
-
기체교환. 가스의 확산
-
Fick의 확산법칙: 가스교환
-
환산거리
- 길수록 반비례
-
확산면적과 분압
- 운동중에는 개방된 모세혈관 수가 증가해 폐의 확산 면적과 확산능력을 증가시킨다.
-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확산속도는 경계면적, 두 영역사이의 분압차에 비례, 확산거리에 반비례한다.
-
가스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분압차
- 확산거리 짧을 수록
- 확산거리 넓을 수록- 모세혈관
- 적혈구 및 헤모글로빈의 농도
-
외호흡과 내호흡
-
외호흡(폐호흡)
- 혈액 내 이산화탄소 분압이 폐에서 보다 크면 이산화탄소는 혈액에서 폐로 이동하게 된다.
- 외호흡을 일반적으로 폐환기라 한다.
- 폐포안에서 공기와 혈액사이의 가스교환 과정으로 폐포와 모세혈관막을 통해서 가스교환이 이루어진다.
- 폐포와 대기사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 폐포와 혈액사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 폐와 조직사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전달
- 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
-
내호흡(조직호흡)
- 폐의 산소분압이 혈액 내 산소의 분압보다 크면 산소는 폐에서 혈액으로 운반된다.
- 혈액과 조직세포사이에서의 호흡
- 내호흡은 외호흡을 통해 공급받은 산소를 혈액과 조직 사이의 가스교환과 조직세포의 산소 이용과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포함
- 신체조직과 혈액간의 이산화탄소 및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 혈액과 조직사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
- 조직세포의 산소이용과 이산화탄소 배출
- 죄심실- 대동맥- 조직- 대정맥- 우심방
-
호흡시스템 + 심장혈관 시스템 = 운반시스템
- 폐환기(호흡)
- 폐확산 - 폐와 혈액사이의 가스교환
- 혈액을 통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 모세혈관에서의 가스교환
-
가스교환의 트레이닝 효과
-
확산능력 향상
-
폐
- 폐포수 증가
- 폐모세혈관망수의 증가
-
조직
- 모세혈관망수의 증가
- 모세혈관 밀도가 클수록 근육을 통과하는 적혈구의 이동을 느리게 만들어 산소확산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 마이오글로빈 수의 증가
-
운반능력 향상
- 총혈액량과 Hb수 증가되어 산소나 영양분의 운반능력 증가
- 폐정맥으로 환류되는 혈액량 증가
-
폐환기
-
폐용적
-
1회호흡량
- 1회 호흡시의 흡기또는 호기량
-
흡기예비용적
- 1회호흡량에서 최대한 더 들어 마실수 있는 양
-
호기예비용적
- 1회호흡량에서 최대한 배출시킬 수 있는 양
-
잔기용적
- 최대 호기후의 폐내 잔류 공기량
-
폐용량
-
흡기용량
- 휴식시 호기 후 최대흡기량
-
폐활량
- 최대 흡기 후 최대 호기량
-
기능적 잔기용량
- 1회호흡량 배출 후 남은양
-
총폐용량
- 최대 흡기 후의 폐내용적
-
폐포환기와 해부학적 사강
-
폐포환기
- 폐포환기는 폐포에 도달한 공기가 가스교환에 참여해 폐모세혈관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고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해 주는 역할
- 즉 폐포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 호흡영역에 도달한 흡기가스의 용적을 폐포환기량
-
해부학적 사강
- 호흡경로에 남아 있으면서 가스교환에 참여하지 않는 공기를 지니고 있는 공간을 말한다,
- 폐포환기량 = (1회호흡량-호흡사강) X 호흡수
- 호흡수가 작고 1회호흡량이 큰 것이 폐포호흡량이 더 높다.
-
분당 총 환기량
-
= 폐포환기량 + 사강 환기량
- (분당환기량)= 1회 호흡량 X 호흡수
- 사강환기량= 1회 호흡량 - 1회호흡량 X (호기 중 CO2함량 % / 폐포 공기 중 CO2 함량(%)
- 폐포환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호흡의 깊이(1회 호흡량)
- 호흡률(호흡수)
- 사강환기
- 폐포환기량에 대한 1회 호흡량과 호흡수의 영향
- 폐포환기량 = (1회호흡량 - 호흡사강) x 호흡수
-
환기량의 변화 및 조절기전
-
운동전
- 환기량 중간수준으로 증가
- 대뇌피질의 자극(운동을 한다는 예측)
-
운동중
- 초기
- 급격히 증가
- 활동근의 운동 결과(근육과 관절)
- 지속
- 화학적 자극(이산화탄소)이산화탄소 생성에 따른 호흡중추의 작용
- 최대하 운동
- 산소요구량과 산소섭취량이 균형을 이루어 항정상태이나 미미한 증가
- 최대운동
- 산소소비량이 산소섭취량보다 많기 때문에 항정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환기량은 계속 증가한다.
-
운동후
- 초기
- 급격한 감소
- 자극중단으로 인한 움직임의 감소
- 근육과 관절로 부터 자극중단
- 후기
- 미미한 감소
- 이산화탄소 생성의 감소
-
젖산역치 = 환기역치
- 젖산생성
- 젖산제거
-
혈액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
혈액의 기능
- 운반기능
- 체온조절
- 산염기 평형
-
혈액의 산소운반
- 용해산소
-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
산화헤모글로빈 해리 곡선
-
안정시와 운동시
- 안정시
- 산소분압과 헤모글로빈과 산소와의 친화도의 관계
- 동정맥산소차
- 40mmhg의 산소분압까지는 상대적으로 가파른 곡선부분이고
- 그 이후는 완만하게 증가하며 항정상태에 이르게 된다.
- 운동시
- 산소해리곡선의 우측이동
- 산소분압
- 이산화탄소분압
- PH 감소(Bohr 효과)
- 온도 상승
- 동정맥산소차
-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산소분압
- 이산화탄소분압
- PH
- 온도
- 2-3 DPG
-
혈액의 이산화탄소 운반
- 용해된 상태의 이산화탄소
-
헤모글로빈과 결합한 이산화탄소(카바민화합물)
- 적혈수 속 단백질의 종말 아미노기가 이산화탄소와 결합해서 형성
-
중탄산
- CO2 + H2O = H2CO3= H+ + HCO3-
- 적혈구 속으로 들어가 탄산 탈수소 효소에 의해 물과 결합
- 탄산이 된 이후에 수소이온과 탄산수소 이온으로 해리되어 운반된다.
- 해리된 탄산수소이온은 적혈구 세포밖으로 확산되어 혈장속으로 들어와 나트륨이온과 결합하여 폐까지 운반된다.
- 혈장속 인산화탄소 농도가 폐포보다 높아 이산화탄소는 혈액에서 나와 폐포로 확산되고 가스교환이 이루어 진다.
- 일부 중탄산염은 혈액속에 그댈 운반되거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운반된다.
- 남아있는 수소이온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폐로 운반된다.
- 이후 폐로 이동하면 반응이 반대로 진행되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어 배출한다.
-
운동 중 산염기 평형
- 산염기, 산도
-
근육 내 수소이온 농도 증가가 운동수행에 미치는 악영향
- 유산소성 또는 무산소성 ATP생산에 관여하는 중요효소(PFK)의 억제
- 트로포닌과 결합하는 칼슘이온의 억제
-
산 염기 완충체제
-
화학적 완충작용(첫번째 방어선)
- 세포내 완충작용(근육)
- 단백질
- 60%
- 인산기
- 10-20%
- 중탄산염
- 20-30%
- 세포외 완충작용(혈액)
- 중탄산염
- 혈장 단백질
- 양이 적으므로 심한 운동중에는 완충제로서 유용성이 제한된다.
- 헤모글로빈
- 안정시 주요 혈액 완충제
-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 보다 산소와 결합하지 않은 헤모글로빈이 완충효과가 더 높다.
-
호흡에 의한 완충작용(두번째 방어선)
- 과환기 - 호흡보상
-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면 탄산이 감소되어 PH가 증가
- 이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할 때 탄산의 양이 증가하므로 혈액의 수소이온이 증가하여 PH를 조절한다.
- 반대로 혈액내 이산화탄소의 양이 감소하면 수소의 양이 감소하여 PH는 증가한다.
- 그러므로 호흡계는 혈액 내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혈액의 Ph는 감소한다.
- 혈액내 수소이온농도는 폐포환기가 증가되도록 호흡중추를 자극한다.
- 수소이온 농도와 중탄산염을 결합시켜 이산화탄소 제거를 활성화함
- 사점
- 세컨드윈드
- 옆구리 통증
-
신장에 의한 완충작용
- PH감소
- 신장에서 중탄산염 분비(배출)속도 감소
- PH증가
- 신장에서 중탄산염 분비(배출)속도 증가
- 혈중 젖산 농도가 증가하면 혈중 중탄산염 농도는 감소
-
폐기능의 트레이닝 효과
-
분당 환기량 일정
- 폐포수와 폐용적의 증가로 1회호흡량이 증가
- 안정시와 최대하 운동중의 호흡수는 감소
- 즉, 1회호흡량 증가로 안정시 호흡수가 감소하여 분당환기량이 일정
- VS 최대운동중: 최대분당환랭 증가
-
환기효율상승
- 폐의 용적이 커져 들숨의 양이 늘어나게 되어 호흡의 효율이 증가한다.
- 호흡근에서 산소를 적게 소비함으로써 활동근에 더 많은 산소를 소비할 수 있다는 것
- 즉, 안정시 보통사람보다 호흡수는 작지만 더 많은 산소를 소비할 수 있다는 것
-
폐활량 증가
- 운동을 통한 흡기근의 강화로 흡기용량과 폐포수 증가
- 페용적이 커지고 들숨의 용량과 폐확산 용적이 증가
- 기능적 잔기량과 잔기용적은 상대적으로 비율이 감소
-
동정맥 산소차 향상
- 트레이닝 후 안정시 최대 운동시 모두 동정맥 산소차는 증가
- 모세혈관망수 증가
- 미토콘드리아 수와 크기 증가
- 혈액내의 헤모글로빈 수 증가
- 근육의 마이오글로빈수 증가
-
신경계와 운동
-
신경계의 기능
-
지각
- 외부상태를 지각
-
운동
- 운동단위의 동원
-
자율
- 체내, 체외상황을 감지하여 항상성 유지
-
연합
- 과거의 운동경험을 기억
-
신경계 구조도
- 신체운동은 에너지만 공급된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 왜냐하면 근육은 뇌로부터 운동신경에 의하여 운동명령을 전달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 뇌와 척수로 구성되는 중추신경계와 여기서 출발하여 신체의 말초조직에 이르는 뇌신경, 척수신경 및 자율신경으로 이루어진 말초신경으로 구성
-
감각기관
- 중추신경계를 향해 정보를 전달
-
운동신경섬유
- 중추신경계로부터 자극을 받아 전도
-
신경세포
-
구조
-
신경원
- 신경계의 기능적 단위
- 감각 신경
- 운동신경
- 연합신경
- 축색돌기
- 세포체
- 수상돌기
- 축삭
- 랑비에결절
- 신경연접부
- 신경연접부의 의 기능은 곧 신경계의 기능
- 수상돌기와 축색돌기가 연결
- 근신경연접부의 반응
- 흥분성 자극이 축삭 말단에 도달하면 소포에 저장되어 있던 아세틸콜린이 방출
- 근섬유의 근섬유막에 있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에서 탈분극이 일어난다.
- 신경자극은 근형질의 T세관을 거쳐 근형질 세망의 소포에 도달
- 소포에 저장되어 있던 칼슘이 방출
- 칼슘에 감수성을 갖는 트로포닌이 트로포마이오신의 위치를 변화시쿄 액토마이오신 복합체 형성
- 십자형교 끝에 뭉쳐져 있는 ATP가 ATPase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한 에너지를 통해 수축이 일어난다.
- 특징
- 자극전달은 일방통행
- 화학 물질 전달 지연
- 신경자극 전달을 늦춘다.
- 피로에 매우 민감
- 피로하면 자극이 전달되지 않아 근수축X
- 약물에 약함
- 높은 역치수준
- 신경교
-
신경세포의 특성
-
전기적 특성
- 역치와 실무율
- 탈분극시키기에 충분한 자극(1-20mv)
- 실무율
- 탈분극이 일어나면 활동전위가 발생
-
화학적 특성
- 두 뉴런사이의 신경자극 전달역할
-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
- 시냅스 전막
- 흥분성자극->시냅스 공간(아세틸콜린 방출)-> 시냅스 후막: 탈분극
-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IPSP)
- 억제성 자극->시냅스공간(감마아미노부릭틱산)->시냅스 후막: 과분극
- 시냅스로 들어오는 자극이 흥분성 자극이면 막전위를 작게 해 활동전위를 쉽게 일으킬 수 있다.
-
반사궁
- 감각기를 통해 외부의 자극을 감지하고 감지한 자극을 지각신경을 통해 중추로 보내면 중추의 판단이 운동신경을 통해 작용기에 이르러 반응을 보인다.
- 감각기-지각신경-중추-운동신경- 작용기
- 수의운동
- 불수의 운동
-
중추신경계
- 반사궁에 속하는 감각기, 지각신경, 운동신경, 작용기를 말초신경이라 하며
- 대뇌,소뇌, 척수는 중추신경이라고 한다.
-
뇌
- 대뇌
-
간뇌
- 시상
- 시상하부
-
소뇌
- 신체평형
- 자세조정
- 운동조절
- 스피드 지각효과
- 제동효과
-
뇌간
- 중뇌
- 뇌와 척수를 연결
- 눈동작의 반사중추로서의 기능
- 뇌교
- 호흡지배
- 평형감각
- 청각
- 연수
- 호흡중추
- 반사중추
- 추체로를 통해 지각신경과 운동신경이 엇갈린다.
-
척수
- 감각기능
- 운동기능
- 반사기능
-
말초신경계
-
감각계
- 고유수용기는 근육과 관절에 있는 특별한 감각기관으로
- 근육과 건, 인대, 관절에서 오는 여러가지 감각정보를 중추신경계로 전달해 부드럽고 협응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
운동감각과 관련된 중요한 3가지 감각기관
- 근방추
- 근육이 넘 빠르게 늘어나거나 평소보다 많이 늘어나면 근방추는 근육이 더 이상 늘어나지 못하도록 명령을 내림
- 구조
- 추내근 섬유는 모양이 다른 몇 개의 근섬유가 캡슐안에 있는 모양으로 중앙부는 감각신경
- 감마운동신경은 추내근을 지배
- 알파운동신경은 추외근을 지배
- 수축성이 있는 추내근 섬유의 양끝에 감마운동 뉴런이 있고 이는 대뇌 피질에 있는 운동중추로부터 직접자극을 받는다.
- 추내근의 중앙 부위에는 액틴과 마이오신이 없어 수축할 수 없다.
- 기능
- 근육의 신전에 관한 정보를 전달---> 근이 신전되면 감각신경을 통해 중추신경계로 전달
- ---> 추외근 섬유의 알파운동신경을 자극해 근을 수축
- 감마시스템
- 추내근 섬유의 감마운동뉴런이 자극
- 추내근 섬유신전
- 감각신경을 따라 중추에 전달되어 운동 중추의 판단
- 추외근 섬유의 알파운동신경을 조절해 부드럽고 조화로운 동작
- 골지건
- 근의 수축에 관한 정보를 전달
- 운동중추는 알파운동신경에 억제성자극을 가하거나 길항근을 흥분시킴으로써 지나친 수축에 의한 부상을 예방
- 관절수용기
- 관절의 각도, 관절의 가속도, 압력에 의해 변형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보낸다.
-
운동계
-
자율신경계
- 교감신경계
- 심박수 증가
- 심장 수축력 증가
- 혈관 확장
- 교감 신경계반응의 완화
- 혈압증가
- 관상동맥의 확장과 심장으로 혈액공급증가
- 부교감신경계
- 심박수 감소
- 관상동맥
- 기관지수축
-
체성신경계
- 추체로
- 섬세하고 불연속적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 전신에 있는 골격근의 수의운동을 지배
- 연수 앞부분이 교차
- 좌측 대뇌반구는 우반신을 지배
- 추체외로
- 연수의 추체를 통과하지 않는 모든 신경로
- 대부분의 운동은 추체로의 지배를 받으나 추체외로에 의해 부드럽고 조화로운 운동이 가능하다.
- 근긴장을 감소시키는 탄력성을 가지므로 한 동작에서 다음동작으로의 이행을 부드럽게 하고 신체자세를 유지한다.
-
신경계의 트레이닝 효과
- 조정력 향상
-
동작의 자동화 및 반응시간 단축
- 반응선택 시간이 단축
- 수의 운동 형태의 운동기능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면 신경로가 발달하여
- 신경이 점차 반사동작처럼 변하여 반응시간이 단축되고 운동기능이 자동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