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점 추진 전략1. 글로벌 확산
- 중국 및 아시아 지역의 고객 조사와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
화장품산업동향
-
2015년 한 중 FTA체결
-
중국시장
- 뷰티 산업에 있어 성장 초기 단계라고 봄
- 한국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현재 중국의1인당 화장품 소비액이 한국의 절반 수준이지만, 인구규모가 워낙 크니까 전체 시장은 앞으로도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음.
- 중국에서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모바일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다응함
- 기능성 제품, 특히 한방, 천연 식물성,유기능, 동물성화장품의 선호도가 빠르게 증가
- 올인원 복합 기능성 제품의 비중이 크게 확대
-
중국시장으로의 진출
- 그동안은 수출 절차가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등 문제점
- 중국 정부의 자국 기업 보호 정책
- 화장품수출의 절차가 간소화되었고, 중저가 화장품의 경우애는 관세가 철폐되어
- 교역량 증대
- 한국화장품은 이전보다 낮아진 가격을 통해 경쟁력 확보
- 중국의 무역 장벽
-
면세점 매출의 고성장
-
아모레의 3분기 화장품 내수 매출의 25%
- 비중이높고,성장을 지속하는 중
- 원인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들의 폭발적인 증가로
- 면세점업계는 면적을확장할 계획
-
정부에서는면세점 추가 설치 방안
- 신규사업권6개정도 발급할 계획
-
5대 글로벌 챔피언 브랜드의 확산
- 설화수
- 라네즈
- 아몽드
- 에뛰드
- 이니스프리
- 글로벌 사업 비중 50% 달성
-
중점 추진 전략2. 디지털 역량 강화
-
온/오프라인의 경계가 사라진 고객과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 다양한디지털 컨텐츠를 개발 제공해, 고객과의 소통에 노력해
-
옴니채널 전력: 모든 고객 접점에서 최고의 브랜드 경험을 제공함
- 오프라인매장
- 브랜드사이트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 子主题 2
- 子主题 3
- 子主题 4
-
중점 추진 전력3. 소매역량강화
- 타브랜드와 차별화할 수 있는 고객 소비스와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매력적인 매장을 육성함
-
중점 추진 전략4. 임직원역량강화
- 글로벌인재 육성 프로그램 "혜초 프로젝트"-글로벌 비즈니스를 주도하는 인재 확보/양성
-
중점추진 전략5. 질경영 정착
-
잘경영을지속적으로 수행하고 국내 및 해외 사업에 정착시켜
- 적자매장 지속 개선
- 해외선진 시장 흑자기반 확보
- R&D 및 신성장 동력 투자
- 질적 성장에 주력할 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