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단
-
탄력근로제확대 합의
-
상설국정협의체
- 대통령
- 여야5당 원내대표
-
방안
- 현행 3개월을
- 6개월 또는 1년으로 연장
- 탄력근로 단위기간
-
사유
-
기업애로 막심
- 특정 시기 일감 몰리는
-
노동계 입장
-
노동법 개악 중단
- 탄력근로제 기간확대
-
사유
-
가산수당 줄어듬
-
초과근무로 발생하는
- 탄력근로제 확대되면
-
유명무실
- 장시간 노동관행 개선
-
정부
-
출범 강행
-
경제사회노동위원회
-
노동의제
- 공익위원안
- 공무원 교사 노조 설립 허용
- 해고자 노조가입 허용
- 사유: ILO 핵심 협약 비준해야 한다는 것
-
각 계층의 의견
-
중앙일보
-
무책임
- 노동계의 처사
-
최소한의 보완 거부
- 기업의 존폐가 걸린 문제
-
6개월~1년 단위 운용
-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 미 영 독 일
-
탄력근로제 확대 반대
- 참여연대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 정의당
-
재계
-
사용자의 방어권도 인정돼야
- 노조단결권을 광범위하게 인정한다면
-
결론
-
정부
-
돌파해내야
- 탄력근로제 확대 반대 세력
-
그렇지 못한다면
-
수포로 돌아감
- 노동개혁
- 일자리 창출 노력
- 탄력근로제 확대 관철은 정부 노동정책 변화의 시금석